티스토리 뷰
AWS 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개념정리가 선행 학습되야 한다. 가장 기본이 되는 EC2에 대한 개념과 Auto Scaling 그리고 인스턴스(Instance) 에 대해서 살펴보겠다. 특히 인스턴스에 대한 기본 개념을 잡아두면 클라우드에 대한 전체적인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.
EC2
가상의 컴퓨터 인스턴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Elastic Compute Cloud의 약자인데, C가 두번 반복되어 EC2로 불린다.
단 몇분만에 안전하게 용량의 조정이 가능하며, 단일 인스턴스부터 시작해서 다수의 인스턴스 지정도 가능하다.
- 인스턴스를 통한 가상 컴퓨팅 환경을 제공한다.
- 인스턴스 구성을 위한 CPU, 메모리, 스토리지, 네트워킹 용량을 제공한다.
- 안정적인 확장형 온디맨드 인프라 구축이 가능하다.
- 필요한 컴퓨팅에 대해서만 비용을 지불하기 때문에 비용 최적화가 가능하다.
- 오토스케일링을 통해 99.99% 가용성을 보장한다.
<< 광고 >>
사실 인스턴스에 대한 개념을 익히기 위해서는 실제로 생성해봐야 한다. 개념을 이해했다면 실습까지하여 내 것으로 만들어 두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.
만약, EC2사용에 자신이 없거나 조금 더 가볍게 시작해보고 싶다면 라이트세일을 추천한다.
실제로 라이트 세일의 경우 EC2 에서 진행되는 절차의 70% 이상 빠지기 때문에 쉽게 인스턴스의 개념을 익힐 수 있다.
EC2 인스턴트 타입
사용 목적에 맞는 다양한 인스턴스를 제공한다.
인스턴스는 T4g / T3 / T2 / M4 등과 같은 네이밍을 갖는데 이는 인스턴스 유형마다 CPU처리 능력을 의미 하고 숫자는 버전을 의미한다.
아래는 현재 AWS 공식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인스턴스 유형이다.
- 범용
- 컴퓨팅 최적화
- 메모리 최적화
- 가속화된 컴퓨팅
- 스토리지 최적화
EC2 Auto Scaling
Auto Scaling 그룹을 생하여 그룹에서 최소 및 최대 인스턴스 수와 원하는 인스턴스 수를 지정할 수 있으며, 조정 정책을 지정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의 크기가 조정됨에 따라 인스턴스를 시작 종료할 수 있다.
즉, Auto Scaling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현재 트래픽 요구를 처리할 수 있는 적절한 용량을 유지한다. 결국 동적 용량 조정을 통한 비용관리를 가능하게 한다.
함께 보면 더욱 좋은 포스팅 정보 👍 |
∙ AWS 라이트세일 플랜 스냅샷을 활용한 업그레이드 ↳ https://graycha.tistory.com/211 |
∙ AWS 라이트세일 5달러에서 20달러 플랜으로 스펙 상향조정 ↳ https://graycha.tistory.com/212 |
* 참고
'프로그래밍 > 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WS 라이트세일 5달러에서 20달러 플랜으로 스펙 상향조정 (0) | 2021.09.24 |
---|---|
AWS 라이트세일 플랜 스냅샷을 활용한 업그레이드 (0) | 2021.09.24 |
Lightsail 로컬 터미널 및 vscode SSH 인스턴스 연결 (0) | 2021.09.23 |
[AWS] MFA 인증 설정 및 그룹 정책배포 (0) | 2021.03.20 |